반응형

전체 글 80

메타 태그(meta tag)

name 속성은 meta정보의 이름을 지정하며, content속성은 meta정보의 값을 지정합니다.주로 이름 항목에서는 DESCRIPTION, GERNERATOR, AUTHOR, KEYWORDS, CONTENTS 등이 주로쓰이고 사용자가 마음대로 더 만들어서도 쓸 수 있습니다. ex) HTML버전 표기 제작자를 소개 name 속성을 대신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, html 문서가 응답 헤더와 함께 웹서버로부터 웹 브라우저에 전송되었을 때에만 의미를 갖습니다. 페이지의 기본정보로는 보통 사용된 HTML의 버전 , 쓰여진 언어, 글자세트(Character set)등을 ..

Web/JSP/Servlet 2013.08.01

JSTL(코어태그 까지됨.)

why?) JSTL : View = html/css/js + "JSP" + Java BeansJSP -> XML tag? -> JSTL / EL : 간소화 -> View 단순!JSP : java code : 기능 다양 ! : 모듈화(template) ! JSTL -> 모듈화-> 인자 전달이 잘 안됨 !: 가급적이면 JSTL 코드 작성시에는 모듈화는 지양하라 !: 기능이 부족 ! ex) 형변환 : 기능이 적음 !-> 해결) 별도의 taglib(Java Bean code) 작성해야 됨! -> ex) EL function ! JSTL이란? - JSTL(JSP Standatd Tag Library)은 JSP 페이지에서는 논리적인 판단, 반복문의 처리, 데이터베이스 등의 처리를 하는 코드를 깔끔하게 작성하기 위해..

Web/JSP/Servlet 2013.07.25

모듈화에 사용되는 표준액션(<jsp:include>, <jsp:forwoard>, include 디렉티브)

예제첨부 모듈화 : module((완성된) 코드 조각) -> modulationcf) stub, fragment-> 페이지(고정, 자주 변경되는 부분): 변경 빈도가 차이가 있음 !모듈화 -> 페이지 로딩 시간 절감 ! : template화 : 제작/유지보수시에도 편리함 ! - 간단설명. : 자주 변하는 부분 ! : 고정된 부분 !response.sendRedirect("~~~"); //주소와 내용이 동시에 변경! // 주소는 변하지 않고 내용만 변경 !ex) frame과 유사 ! 액션태그 - 다른 jsp 페이지의 '실행' 결과를 현재 위치에삽입 한다. - 다른 페이지의 '실행' 결과를 현재 위치에 삽입 한다. - 자주변하는 부분에 주로 사용! - 구문 : 동작방식 - 하나의 jsp페이지에서 다른 jsp..

Web/JSP/Servlet 2013.07.24

부분 문자제거(String 클래스)

- 프로그램을 짜다 종종 부분적으로 문자 및 문자열을 제거할 일(ex 토큰단위로 분리할때! ) 이 생기기도 하여 포스트를 하였다! 다른방법도 많겠지만 일단은 String클래스 내에서 할수 있는 간단한 방법을 써보았다! - Java api문서에 설명잘되있으니 부족한부분은 가서 읽어보자 주소는 중간에 첨부되어있다! - java.lang에속하는 String클래스를 가지며 일단 메소드 종류로는 replace(), repleaceAll(), split() 이렇게 세가지를 이용하여 분할을 해보았다.- http://docs.oracle.com/javase/6/docs/api/ 에서 발췌해왔다.- 영어로 쓰여있지만 간단하게 말해서 replace는 oldChar과 newChar를 바꿔준다.- replaceAll는 rep..

JAVA 2013.07.23

AJAX(수정요망)

AJAX란? - AJAX(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) 의 약자로서 비동기 자바스크립트, XML을 말한다. - 여기서 비동기란 우리가 흔히 Google 사이트 처럼 검색어를 적었을때 홈페이지의 주소의 변경없이 화면이 전환되는 것을 말한다. - 동기화 사이트의 경우 값을 요청(request)하게 되면 응답(response) 값이 오기전까지 아무런 작업을 할수 없지만 비동기화의 경우 요청만 하고 응답을 받지 않더라도 다음 작업을 수행할수 있기에 매우 유용하다. - 일단 소스의 일부부문만 발췌를 하였기에 예제로 돌릴시에는 돌아가지가 않는다.

프로젝트 2013.07.22

소스 분석 2) Json파서를 이용하여 값읽어오기.

- 웹서버로 부터 안드로이드로 값을 받아 올때에는 Json parser를 이용 하여 값을 파싱하였다. - JSON 파서는 Java Script Object Notation 의 약자로, Java Script 에서 주로 사용하는 파서입니다. - 웹에서 정보를 주고받는 경량화된 방법이며, XML 파서가 아닌 script 에서 사용하는 자료형에 대한 파싱이 가능하다. - JSON 파서에대하여 자세이 알고 싶다면 - http://msdn.microsoft.com/ko-kr/library/ie/cc836466(v=vs.94).aspx 참조. // receive the data and is using a Buffer.BufferedReader bufreader = new BufferedReader(new InputS..

프로젝트 2013.07.22

소스 분석 1) Android 에서의 HttpClient

1. 안드로이드의 HttpClient 을 이용하여 웹서버로 데이터를 POST 방식으로 전달하였다. public int sendHttp() {// URL address insert.String url = "http://192.168.0.6:8080/webprog_lib/CheckLogin.jsp";// HttpClient Create.HttpClient client = new DefaultHttpClient();// NameValuePair Type component create.ArrayList nameValuePairs = new ArrayList();nameValuePairs.add(new BasicNameValuePair("id", text_id.getText().toString()));nameVa..

프로젝트 2013.07.22
반응형